In this scene, where a bee is trapped in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and struggling at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while other bees around it just look on indifferently and suck water (honey water?), the selfishness and indifference of individuals that are also seen in human society are also reflected.
Meanwhile, another bee appears like the wind and rescues the bee in trouble with all its might. Damn.
한 꿀벌이 뒤집어져 물의 표면장력에 갇혀 생사의 기로에서 허우적거리는데 주변의 다른 꿀벌들은 그냥 무심히 바라보며 꿀이나 빨고있는 이 장면에서 인간사회에서도 보여지는 개인의 이기심과 무관심이 함께 투영이 됩니다.
그러던 중 바람같이 나타나 어려움에 처한 꿀벌을 전력으로 구출해주는 또 다른 꿀벌. 존멋.
의리 <- 정의 <-힘 <- 하체근력. 즉 의리는 하체근력에서 나온다는 말씀.
오늘은 하체다, 가즈아!
*This post was double posted on my personal 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