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source: pixabay
웹 자동화 테스트에 이어 모바일 앱 자동화를 블록체인에 기록해보자.
모바일 앱 자동화는 Selenium 기반으로 만들어진 Appium 이라는 툴로 자동화 가능하다.
Selenium 기반이기때문에 Selenium을 아는 사람이면 어렵지 않게 배울수 있다.
Appium은 안드로이드 앱, 아이폰 앱 심지어 PC,MAC 앱도 자동화 가능하다.
너무 멋지지 아니한가?
다만, 나는 안드로이드 앱 자동화만 경험이 있어 아이폰 자동화는 나중으로 미루고 안드로이드 앱만 정리해 본다.(#아이폰미안#넌나중에)
Andriod Studio 설치
👇 그럼 그 첫번째로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 필수인 Android Studio를 설치한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에서 스튜디오를 다운로드한다.
👇 다운로드 파일을 실행하면 여는 프로그램과 동일하게 안내에 따라하면 된다.(#넥스트클릭)
👇 설치 후 실행되는 화면에서도 안내에 따라 설치 타입, 테마, 필요한 컴포넌트를 설치한다.
👇 스튜디오 화면이다. 개발자가 아니니 다른 건 필요없고, avd manager와 sdk manager만 알면된다.
👇 먼저 avd manager를 클릭한다.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설치하는 관리자로 필요한 버전의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안내에 따라 설치해 보자. 가급적이면 플레이 스토어가 있는 에뮬레이터를 설치하도록 한다.
👇 다음은 sdk manager를 알아보자. Software Development Kit
의 약자로 앱 개발, 테스팅 시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아이다. 중요한 부분은 sdk를 설치할 경로인데 보통 디폴트 경로 C:\Users\사용자 컴퓨터명\AppData\Local\Android\Sdk
에 설치하면 되는데 이 경로는 나중에 필요하니 기억해두자. SDK Platforms
탭에서 원하는 안드로이드 버전 선택하고, SDK Tools
탭에서도 필요한 도구를 선택한다.
Apply를 눌러 설치한다. 설치 중 라인센스 안내가 있으면 Accept 클리하면 된다.
또 아래와 같은 화면도 안내에 따라 설치하여 SDK 설치도 마무리 한다.
목록에 installed가 노출되면 다음단계인 ANDROID_HOME 설정을 할 수 있다.
ANDROID_HOME 환경변수 설정
JAVA_HOME과 비슷한 방법으로 환경 변수 창에서 ANDROID_HOME을 새로 생성 후 android SDK 경로를 넣어준다.
시스템 path에도 ANDROID_HOME 경로를 넣어줘야 한다. tools와 platform-tools 두 개만 넣어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cmd에서 adb devices
라고 입력해서 오류가 출력되지 않으면 설정 성공이다.
👇 여기까지 대충 세팅은 끝났다. 에뮬레이터를 실행하면 순정 안드로이드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플레이스토어까지 있으니 원하는 앱을 쉽게 설치할 수도 있다. 파티코 앱도 잘 실행된다.
.
.
.
.
[Cookie 😅]
Appium - http://appium.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