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onnieyoon입니다.
오늘은 프로그램의 Compile 과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c파일 : 설계도
.obj파일: 부품
Easy explain)
설계도가 OK -> 부품을 만든다 -> 조립
컴파일 오류 => 문법 오류
링크 오류 => 있어야 할게 없거나 or 하나 있어야 할놈이 여러 개 있을때
런타임오류 => 실행됬는데 오류가 남(가장 잡기 힘듬)
번역을 할때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1.Compiler 방식
소스코드를 실행하기 전 기계어로 번역한다.
소스를 다시 수정하고나면 컴파일을 다시 해야하기 때문에
인터프리터에 비해 느리다.
2.Interpreter 방식
소스코드를 그때그때마다 번역해서 수행한다.
한줄 마다 읽고 해석해서 속도는 느리지만 실행결과를 바로 알수있어
개발속도가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