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tterati를 시작하게 된 동기
- 자녀와 함께 등산을 갔다가 쓰레기를 발견하고 지적하는 딸의 말을 들음
- 여름 캠프에서 감독관이 부모들이 오기 전에 아이들에게 각자
쓰레기 다섯 개씩 주우라고 했고
캠프장이 순식간에 깨끗해졌던 것을 기억함
→ 이렇게 여러 사람이 함께 지구를 깨끗하게 만드는 것에 대해 생각해 봄
- Litterati 시작
vision is to create a litter free world. 쓰레기 없는 세상을 만들자
인스타그램에 쓰레기 사진을 찍어서 올리기 시작했다
→ 쓰레기가 예술적으로 변했고 다가가기 쉽게 변했다.
곧 사진은 50장이 넘어갔고 자신이 주운 쓰레기 사진을 찍음으로써
긍정적인 영향의 기록을 남기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주위 사람들에게 말해서 참여를 시켰고, 어느 날 중국에서도
사진이 올라온 것을 발견한다. 그리고 Litterati는
단순히 예쁜 사진일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커뮤니티의 일종이
되어가고 있는 것을 깨닫는다.각 사진은 이야기를 해준다. Geotag는 어디서 주웠는지,
Time stamp는 언제 주웠는지.
→ Google map을 만들게 되었고 그 곳에 기록을 남기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들의 커뮤티니는 점점 커졌다.
" Litter: it's blending into the background of our lives.
But what if we brought it to the forefront?
What if we understood exactly what was on our streets,
our sidewalks and our school yards?
How might we use that data to make a difference? "
쓰레기는 우리의 삶의 뒷배경에 섞여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것을 앞으로 가지고 오면 어떨까요?
우리가 우리의 거리 위에, 우리의 도보에,
그리고 우리의 학교 앞뜰에 무엇이 있는지 정확하게
이해한다면 어떨까요?
어덯게 우리가 그 데이터를 이용해서 차이를 만들 수 있을까요?
- 확산되게 된 계기
- San Francisco 에서 담배에 세금을 매기고자 사람들에게
연필과 클립보드를 들고 길거리를 돌아다니며 정보를 모으게 하고
모든 담배 판메에 20cent 세금을 매기기로 함.
그러나 그런 방식으로 조사한 것은 정확하지 않고 증명 가능할 수 없다며
큰 담배 회사에게 고소를 당하고 강연자의 기술을 써도 되겠냐는 요청을 받음
→ San Francisco는 승소한 것은 물론이고 세금을 2배로 할 수 있게 됨
→ 그러나 이 과정을 통해 강연자는 인스타그램의 한계를 느끼고 어플을 만듬.
- Litterati의 의의
각 도시의 쓰레기 지도는 문제의 원인을 제공해줄 뿐 아니라
해결책도 제공해준다.브랜드도 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ex) Okland 에서 Litterati 커뮤니티가 쓰레기 분석을 했을 때 잘 알려진
타코 브랜드의 핫소스 쓰레기가 많이 나왔다.
강연자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요청에 의해서만 핫소스를 주거나, 자판기를 설치하가나
지속 가능한 포장법 등을 취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아이들로부터 배우자
ex)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학교 운동장에서 쓰레기를 주웠을 때
학교 식당의 빨대 봉지 쓰레기가 제일 많았다. 아이들은 교장선생님에게
바로 가서 얘기를 했고 그들은 그 문제를 해결했다.
→ Individually they could each make a difference, but together they created an impact.
개인은 차이를 만들 수 있지만 함께라면 큰 영향을 만들어낸다.
"One piece at a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