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를 세는 매미
어떻게 그러는지 아무도 모르지만
몇몇 매미 종은 생활주기를 큰 소수에
맞춥니다 소수란 자기 자신과 1로만
나누어 떨어지는 수 그러니까
2 ,3, 5 ,7 ,11 ,13 ,17의 수들입니다
매미에게 14, 15, 16, 18 주기는 없습니다
매미는 왜 소수를 주기로 등장해서
사람들을 놀라게 할까요?
매미의 이 전략은 종족 보존을 위해서입니다
매미가 13년, 17년이라는 정확한 주기를
지키는 것은 일종의 인해전술인셈이죠
매미의 천적은 너무나 많은데 새, 다람쥐, 거북,
거미, 고양이, 개 심지어 물고기까지 매미를
잡아먹습니다.
비록 천적에게 잡혀먹더라도 수십억 마리나
되는 매미를 한꺼번에 다 잡아먹을 수 없다는
계산에서 인고의 세월을 견디다 모든 매미가
물밀듯 동시에 세상에 등장하는 것입니다
굶주린 포식자는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지만
엄청난 양의 매미집단에는 큰 피해를
주지 못합니다
특히 미국에서 13년주기 매미와
17년주기매미가 만나는 13×17=221년
에 한번은 폭발적인 매미의 증가량이
나타납니다 ㄷㄷㄷ 무려221년마다
소수매미의 애벌레는 여러 해동안
땅속에서 나무 뿌리를 먹고 사는데
13년 또는 17년에 한번씩
지상에 나타나 짝짓기를 합니다
소리를 내는 원리
매미는 가장 시끄러운 곤충이지만
오직 수컷만 그것도 더운 여름날에만
웁니다 몇몇 종의 울음소리는 120데시벨
에 달하고 거의 1.6킬로미터 밖에서도
소리를 들을 수있습니다
매미는 여치처럼 날개를 비벼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복강에 있는 한쌍의
진동막을 비틀어 소리를 냅니다
보통 울때 집단으로 울어 새들이 각각의
매미가 있는 위치를 알아 낼수 없게
만듭니다 하지만 매미가 우는 주된이유는
짝짓기 상대를 유혹하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울음소리
털매미: 찌 찌 찌…
늦털매미: 씨~익 씩 씩 씩 씩
말매미:주르르르르르르르르르르르…
애매미:소리 변화가 많음 예측불가
참매미:밈 밈 밈 밈 미이이 밈 밈 밈 밈 밈
유지매미: 지글지글지글지글
쓰름매미:스데 욜 스데 욜 스데 욜 스데욜
소요산매미:지잉 맹 지잉 맹 지잉 맹 지잉 맹
참깽깽매미:뜨르르르르 륵 뜨르르르르륵
매미에 관한 문화들
매미는 땅속에 있다가 다시 태어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많은 문화에서 부활과 불멸의
상징이 되었는데 도교에서 매미는 신선을
상징하고 고대 그리스에서 매미는 애완동물
이었습니다
매미요리
아시아와 아프리카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곳곳에서 매미를 먹습니다 아메리카원주민
은 매미를 바싹 구워서 팝콘처럼 먹는데
매미는 놀라울 정도로 살이 많고
아스파라거스와 비슷한 맛이 난다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구운 매미를 즐겨먹었다고
하죠
이제 매미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조만간 시끄럽게 울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