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 국내외 시황
비트코인 국내외 48h 시황 비교 차트 🔎 위 차트를 'shift+클릭'하면 새창에서 큰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drbitcoin.net (적용된 환율이 부정확할 수 있어 '추이' 정도만 보세요.)
비트코인 시세 | 현재 971만 원 |
---|---|
24h 국내시세 변동폭 | 약 16만원(저가 약 955만원, 고가 약 971만원) |
24h 프리미엄(웃돈) | 최저 0.55%, 최고 1.9% |
BTC 현재 발행량 | 16,994,313 |
BTC 보유 현황 | 28.57% 지갑이 99.86% 소유 |
BTC 24h 거래량 | 390,840.10 BTC 엔화 67.47% 미화 18.84% 원화 7.14% |
BTC 트랜잭션 | (04.22) 171,870(▼) |
BTC 현재 미승인거래수 | 1,036 |
BTC 노드 수 | 10,420 |
🙋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전문강사, '주의별'입니다.
많은 투자자 분들이 아기다리 고기다리던 심리적 지지선 1,000만원 고지는 아직이지만, 토요일 말씀을 드린 것처럼 떨어져도 곧 회복할 수 있을 것 같은 흐름을 탄 것 같다고, 주말 동안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면서 계단식으로 10일째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1,000만원 고지에 바짝 접근했는데요. 금주 내에 1,000만원 선에 안착할 수 있다면 상승 랠리 지속되어 5월 중에 1,300~1,500만원 선도 노려볼 수 있을 것도 같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안착하지 못한다면 가격 불안정에 횡보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별다른 이슈가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그럴 가능성은 적어보이기는 하죠.
04월 23일(월) 암호화폐 동향 뉴스 업&다운
(since 2017.10.24)
📂 전망
(⚠) 01. GDPR의 5가지 포인트와 기업 역할 3가지 - 보안뉴스 | 김경애 기자
- <요약> 오는 5월 25일부터 유럽의 개인정보보호법인 'GDPR'이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GDPR'은 기업의 비즈니스는 물론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등의 신기술에도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삼성 등 극히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면, 준비가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데이터 통제권 강화 : 컨트롤러(프로세서)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 이동 및·처분을 요구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프로세서)는 법적 요구가 있을 때마다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유해야 한다.
데이터 처리의 투명성 강화 : 컨트롤러(프로세서)는 개인정보를 '합법적으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처리하고,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데이터 처리에 대한 책임 강화 : 컨트롤러(프로세서)가 GDPR 준수 여부를 입증하는 체계를 갖추고, 제3자에게 전달되는 개인정보가 GDPR을 준수하며 처리되는지 확인할 책임이 있다.
GDPR 규정 위반이 적발될 경우 : 연간 매출액의 4% 달하는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정보주체의 권리 강화 : 개인이 기업의 GDPR 위반으로 손해를 입을 경우 보상 청구가 가능하고, '삭제권', '이동권' 등의 권리를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 'GDPR'에서는 1)개인정보 영향평가 실시, 2)데이터 보호 책임자(DPO, Data Protection Officer) 임명, 3)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Data Protection by Design) 등을 컨트롤러와 프로세서에 해당되는 조직들이 지켜야 할 의무로 명시하고 있다.
(👎) 02. 美 SF연은 총재 "가상화폐, 달러 대체 불가…기본 통화요건 결여" - 파이낸셜뉴스 | 장안나 기자
<요약>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존 윌리엄스' 총재는 현재시간 20일 한 연설에서 암호화폐는 통화가 갖춰야 할 기본요건(가치 저장)조차 갖추지 못했다며, 별로 개의치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암호화폐를 제도권에 편입하기에는 사기와 돈세탁, 테러조직 자금조달 등 문제가 너무 많지만, 기술적 장래성 측면에서 보는 편이 좋다고 전했다.
(👍) 03. 前 JP모건 트레이더 "암호화폐, 금융혁명 촉발시킬 것" - 코인리더스 | 박병화 기자
- <요약> JP모건의 글로벌 에너지 거래 데스크를 이끌었던, 현재 디지털 투자은행, '코인쉐어스(Coinshares)'의 회장인 '다니엘 마스터스(Daniel Masters)'가 '분산 원장 기술'은 인터넷 민주화 혁명의 핵심 요소로, 암호화폐가 금융혁명을 촉발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CCN의 기사를 참조하세요.
(⚠) 04. 암호화폐 부문의 '무디스'를 꿈꾸는 'DarpalRating'의 'Code Audit List' 발표 - ICO세션
'DarpalRating'은 개발적인 관점에서 제대로 개발을 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깃허브의 코드를 심사(Audit)하여 200개의 암호화폐 순위를 발표하였다.
심사 척도는 'Popularity of the Library(라이브러리 인기도)', 'Number of Contributors(개발 참여자 수)', 'Release Frequency(업데이트 빈도)', 'Type of commit(업데이트 유형)' 등이며, 'The overall rating ranges from 1 to 5(전체 평점의 등급)'으로 순위를 매겼다.
그 결과, 'EOS', 'Lisk', 'Cardano', 'bitcoin', 'Ethereum'이 5점으로 1위에서 5위까지 랭크되었다.
🔊 200위까지의 순위와 상세 평가 기준은 Darpalrating의 미디엄을 확인하세요.
📂 국내 동향
(👎) 05. 암호화폐 새 거래수단 주목…주화산업 경쟁력 키워야 - 연합뉴스 | 이세원 기자
<요약> '김용진 기획재정부 2차관'은 23일 열린 제30차 세계주화책임자 회의 축사에서 암호화폐 등 새로운 거래 수단이 등장한 가운데 주화산업이 위기의식을 가지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용진 기획재정부 2차관 : "전자 지급수단 확산으로 동전 없는 사회·현금 없는 사회가 앞당겨지면서 중앙은행 실물화폐 발주가 줄고 있고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는 공공 부문 영역으로 인식되던 화폐주조권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주화산업을 주관하는 조폐 당국은 암호화폐 등 대체 지급수단 등장이 전통 화폐 자리를 위협할 가능성과 그 잠재력에 위기의식을 한층 더 높이 가져야 한다"
"최근 국내 암호화폐 시장은 비교적 안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블록체인 와치 💬
'주화산업'에서 쇠퇴한 '석탄산업'이 오버랩됩니다. 주화산업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겠지만, 머지 않은 미래에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얼핏 암호화폐에 대한 긍정적인 발언처럼 보이지만, 마지막에 소개해 드린 말에서 정부의 입장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전문가를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블록체인 산업의 뒤처짐과 골든타임을 토로하고 있는데, 정부는 안정적이라고 보고 있다니요. 이러니 세월호가 같은 일들이 일어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 06. 가상화폐 거래소 수수방관 언제까지 - 한국금융신문 | 한아란 기자
<요약> 낮은 진입 장벽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가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다.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까지 국내로 들어오고 있다. 문턱이 없다보니 각종 사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의 제도 마련이 지지부진하자 은행과 블록체인협회가 거래소 시장 규율을 떠맡는 모양새가 됐다.
이미 거래소에는 투자자들의 수많은 자금이 흘러 들어갔다. 그 어느 곳보다 치안이 필요한 통로가 되어버린 것이다. 거래소를 비롯한 암호화폐 사업을 제도권 내 편입하고 정부가 관리하는 시장에서 운영케 해야 한다.
(👎) 07. 가상통화 거래사이트를 조사하겠습니다 - 머니투데이 | 강상규 소장
<요약> 지난 17일 미 뉴욕 '에릭 슈나이더먼(Eric Schneiderman)' 법무장관은 암호화폐 시장의 건전성(integrity) 조사에 착수한다며 주요 거래사이트 13곳에 관련 질의서를 발송했다.
질의서는 거래사이트의 △소유 및 지배구조 △운영 및 수수료 △거래 규정 및 절차 △운영 중단 및 거래 정지 △내부통제 △정보보호 및 자금세탁방지 △고객자산 보호 안전장치 등 총 7개 항목에 대해 구체적인 사항을 조사하는 것.
그동안 규제와 감독의 사각지대에서 가상통화 시장은 폭풍 성장했다. 하지만 적절한 규제와 감독이 없다보니 거래사이트의 불공정하고 불투명한 행위나 코인 분실도난, 해킹 사고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해줄 장치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뉴욕주 법무부는 대형 거래사이트 13곳에 대해 7개 항목에 걸쳐 건전성을 비교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함으로써 투자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건전한 거래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반면 한국의 법무부가 가상통화 시장을 보는 시각은 극명하게 다르다.
미국 뉴욕주의 법무부와 재무부가 가상통화 시장의 건전성을 향상하고 투자자를 보호하려는 시각을 견지한 반면, 한국 정부는 '폐쇄'와 '수수방관'의 입장을 보이고 있다.
🔊 보다 자세한 질의서 내용은 해당 기사의 이미지를 참조하세요.
(👎) 08. 업비트, 상반기 신규 회원 거래 불가능 - 환경닷컴 | 윤희은 기자
- <요약> 22일 기업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업비트 신규회원에게 가상계좌를 발급하는 것이 올 상반기 내에는 어렵다는 결론을 최근 내렸다고 밝혔다. 올 하반기 발급도 현재로서는 미정이라는 것.
블록체인 와치 💬
'업비트'가 '카카오'를 등에 업고 단시간에 당시 거래량 1위였던 '빗썸'을 제친 저력이 있기 때문에 가상계좌를 쉽사리 주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지금 정부가 자체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할 정도로 잘 막아놓았는데, '업비트' 때문에 봇물 터지게 할 순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09. 애매한 정부 방침...ICO 기업 범법자 내몬다 - 지디넷코리아 | 임유경 기자
- <요약> 법무법인 테크앤로, '구태언' 변호사에 따르면 ICO를 준비하는 기업이 자칫하면 위법성을 띄게 될 수 있는 문제를 네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해외법인 설립시 설립자금을 신고했는 지 여부에 따라 외국환거래법 위반 소지가 있다. 작정하고 과거 ICO 사례를 전수조사하면 외국환거래법 저촉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
ICO를 많이하는 싱가포르(법인세 7%) 등은 한국 정부가 조세회피처로 지정하고 있어 조세회피 혐의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한국의 법인세는 22%). 무당국이 국내에서 발생할 매출을 해외로 돌린 것이라고 판단하면, 회피된 세액만큼을 국내 거주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는 것.
ICO를 물건 형태로 투자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이유로 사기죄 적용이 가능하다. 백서 내용이 현실성 없거나 구현 능력이 없는 경우 또, 팀 구성원이나 어드바이저(자문)로 이름을 올린 사람이 실제 활동하지 않았을 경우 사기죄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것.
ICO 코인 판매 시 프로젝트 팀의 의도와 다르게 다단계식 판매가 개입(리셀러 등)될 가능성이 있고, 이런 경우 유사수신이나 방문판매법 위반에 해당하게 된다.
(⚠) 10. 한국 ICO 허용 가까이 왔나? - 비트웹
<요약> 암호화폐 전문 뉴스, 'CCN'이 또 다시 여러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에서 특정조건이 충족되면 한국 내에서 ICO가 허용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금융당국은 특정 조건이 충족 될 때 한국의 ICO를 허용 할 계획에 대해 세무 당국, 법무부 및 기타 관련 정부 기관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고 한다.
블록체인 와치 💬
업계와 전문가들이 'ICO 허용'을 계속 주장하고 있고, ICO 금지로 국부 유출이 심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인 블록체인 산업이 지지부진입니다. 아, 여기서 잠깐. 뉴스에서 블록체인을 도입한다는 뉴스가 많이 있는데요. 정말로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것인지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요즘 블록체인의 일부 기능 몇 개를 차용하면서 '블록체인'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블록체인의 핵심 요소는 '투명성'입니다. 도입되는 블록체인의 알고리즘을 공개하지 않는다면 곧이 곧대로 믿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ICO를 금지시켜놓을 수만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ICO가 허용되기 위해서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가상계좌 발급이 이뤄져야 합니다. 지금처럼 거래소를 옥죄여 놓고 ICO를 허용하는 것은 투자자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자를 말려죽이는 것과 같다고 봐야하겠죠. 만약 ICO를 정부가 허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충족 조건이 까다로울 수도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의 관심도 높아지는 만큼 심층적으로 들여다 보려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즉,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충족 조건을 높게 세웠다고 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거래 실명제를 하겠다고 해놓고는 가상계좌를 막아놓은 것처럼 겉으로는 허용하겠다고 하고는 실상은 금지에 준하는 은밀한 속임수일지도 모릅니다. 만약 정부가 ICO를 허용한다는 발표가 있더라도 그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안심하면 안 됩니다.
🔊 해당 기사 내용은 CCN의 뉴스를 참조하세요.
(👍) 11. '불법 하우스라고요?'..금융인재 흡수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 이데일리 | 이재운 기자
- <요약> 업계에 따르면 올해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신사업 모색은 물론, 시장이 요구하는 규제 수준도 높아지는 추세에 발맞추고자 IT와 고객 지원, 기획 등 여러 분야에서 인재 채용에 나서고 있다. 다만 일자리 창출에 있어 콜센터나 기획 등 지원조직 비중이 높은 점은 고민이다.
📂 해외 동향
(👎) 12. 홍콩-싱가포르, 새로운 암호화폐 수도로 급부상 - 뉴스1 | 박형기 기자
- <요약> 지난해 9월 중국 당국이 사기에 이용될 우려가 있다며 암호화폐 거래 및 ICO 등을 금지하자 중국은 물론 세계의 블록체인 관련 업체들이 ICO 등을 위해 홍콩과 싱가포르로 몰려들고 있다. 실제 싱가포르는 이미 미국, 스위스에 이어 세계 3위의 ICO 시장이 됐다. 이뿐 아니라 홍콩도 최근 ICO가 활발하다. 최근에는 한국 업체들도 홍콩과 싱가포르로 몰려가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기사를 참조하세요.
📝 지금까지 금일 암호화폐 관련 전망과 국내 동향 이슈(12)를 엄선해 살펴보았습니다. 암호화폐 동향 파악에 도움이 되셨는지요? 장 분위기는 좋은데, 국내 동향은 깝깝한 것이 우물 안에 갇힌 개구리랄까요~ 지난주에도 그랬는데, 주말에는 한가하다가 월요일에 뉴스들이 쏟아지네요. 그래서 확인이 필요한 해외 동향 뉴스들을 다 다루지는 못했습니다. 확인 과정을 거쳐 명일 큐레이션하도록 하겠습니다. 봄비 내리는 4월 23일 월요일의 암호화폐 동향 뉴스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PS : 댓글을 비롯해 보팅과 리스팀, 팔로우 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큰 응원이 되고 있습니다. 댓글 남겨주시면 보팅과 답방, 맞팔하도록 하겠습니다!
🌿 PS2 : 스팀잇 비가입 분들께서는 '팔로우'로 구독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에서 이웃을 맺으면 '뉴스 업&다운' 포스팅 소식을 받을 수도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