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 국내외 시황

🔎 출처 : popcoin
비트코인 시세 | 현재 742만 원 |
---|---|
24h 국내시세 변동폭 | 약 63만원 (저가 약 740만원, 고가 약 803만원) |
현재 프리미엄(웃돈) | 약 3.52% |
BTC 현재 발행량 | 17,087,013 |
BTC 보유 현황 | 하위 49.43% 지갑이 0.01% 소유 |
BTC 24h 거래량 | 569,831.24 BTC 엔화 67.11% 미화 23.41% 원화 3.66% |
BTC 트랜잭션 | (06.10) 179,809(▲) |
BTC 현재 미승인거래수 | 2,287 |
BTC 노드 수 | 9,892 |
비트코인 시황 와치 💬
7,600달러(국내 830만원) 대를 유지하던 중 어제 08시 40분경부터 하락장이 시작되었습니다. 10시경에 7,200달러 대까지 떨어졌다가 소폭 회복 7,300달러 대를 유지하게 됩니다(국내는 800만원 대). 그런데 14시 40분경 7,200달러 선에 안착(?)하더니...
금일 새벽 02시경에는 7,100달러 선까지 떨어지고 말았습니다(국내는 800만원 대에서 790만원 대를 오고가며 붕괴조짐이 보임). 그리고 30분 뒤 02시 30분경에는 기어코 7,000달러(국내 800만원) 선이 붕괴되고 말았습니다. 03시 20분경에는 6,600달러(국내 750만원) 대까지 급락합니다. 현재는 급락에 대한 조정으로 6,700달러(국내는 750만원) 대를 횡보하고 있습니다.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미국의 규제와 주말에 터진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이라는 악재에 휘청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선 이 하락 요인에 대한 뉴스를 살펴보면서 다른 소식들을 큐레이션하도록 하겠습니다.
06월 11일(월) 암호화폐 동향 뉴스 업&다운
(since 2017.10.24)
📂 전망
(👎) 01. 美조사·거래소 해킹에 침울한 암호화폐…하루새 25兆 증발 - 이데일리 | 이정훈 기자
<요약> 미국 금융당국의 시세 조작 조사를 시작으로 한국 거래소, '코인레일'의 해킹 사고, 캐나다와 태국 등지에서의 규제 강화 법안 등으로 암호화폐시장이 다시 급랭하고 있다.
하루전 만해도 3185억달러에 이르던 시장 시가총액은 불과 하루도 안돼 2947억달러로 238억달러(원화 약 25조6326억원)나 급감하고 있다.
미국 연방상품선물위원회(CFTC)가 몇몇 암호화폐 거래소(비트스탬프와 코인베이스, 잇빗, 크라켄 등)를 상대로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시세 조작 의혹(스푸핑·spoofing)을 조사하기 위해 포괄적인 자료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레일이 보유한 암호화폐 계좌에서 펀디엑스, 엔퍼, 애스톤, 트론, 스톰 등 9종 36억개가량이 40분에 걸쳐 인출됐다. 해킹당한 가상 화폐 시세는 대부분 개당 수십원대로, 모두 합하면 400억원대 규모로 추산된다.
캐나다 금융당국은 암호화폐 거래소 규제를 위한 자금세탁 방지(AML) 및 테러자금 조달 방지(ATF) 의무를 한층 강화하고 거래소를 자금송금사업자(MSB)로 취급해 1000캐나다달러 이상 송금시 새로운 고객 신원확인(KYC) 절차를 추가하는 등 새로운 법안 초안을 공개했다.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암호화폐 거래와 ICO를 규제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했다.
블록체인 와치 💬
위 기사가 나올 당시 07시 30분경에는 25조, 8시경에는 40조, 오후 2시경에는 49조 이상 증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주에 언급해 드렸지만 이번주는 많은 이슈들이 있어 바쁜 한주가 될 것 같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어제부터 일이 터지기 시작했네요. 기다리는 호재는 안오고, 오지말라는 악재부터 입장하였습니다. 현재 시장에 가장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한국과 미국 뉴스는 각각 국내 동향과 해외 동향 섹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5회 대한민국 금융대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재테크·핀테크·창업'의 사전등록(무료입장)은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합니다.
📂 국내 동향
(👎) 02. 코인레일 해킹사태 '충격'…보안 기술력 갖춘 거래소 시급 - 로이슈 | 편도욱 기자
- <요약> 망분리 솔루션 보안업체, '퓨전데이타' 관계자는 최근에 오픈하는 거래소들이 보안 경쟁력을 내세우고, 해킹에 안전한 거래소를 만들고 있다고 홍보하지만, 실상은 보안에 매우 취약한 상태로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었던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이용자들의 소중한 자산으로 이뤄지는 거래인만큼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에 있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보안'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블록체인 와치 💬
수집한 코인레일 해킹사태에 대한 정보를 간략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코인레일은 24시간 거래량으로 세계 90위권의 거래소로 한국블록체인협회에 가입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코인데스크코리아의 기사를 참조하세요.
6월 10일 새벽 2시경 코인레일의 이더리움 계정주소(0x80a909968642f7f90686ff964e71154a00ce6e49)에서 해커의 계정주소(0xdf9191889649c442836ef55de5036a7b694115b6)로 총 10종의 암호화폐들이 40분간에 걸쳐 옮겨짐(인출). 코인레일 보유 코인의 30%에 해당하는 규모(6월 11일 기준 약 450억 원)로 추산된다.
10종의 암호화폐와 수량은 이더리움(ETH, 1927개), 덴트(DENT, 831,595,317개), 펀디엑스(NPXS, 2,619,542,080개), 애스톤엑스(ATX, 93,308,306개), 카이버네트워크(KNC, 203,352개), 비투비코인(BBC, 10,618,588개), 앤퍼(NPER, 704,749개), 스톰(STORM, 23,028,896개), 트로닉스(TRX, 21,520,628개), 지브렐네트워크(JNT, 2,557,709개)이다.
해커는 암호화폐 6종(스톰, 카이버네트워크, 펀디엑스, 지브렐네트워크, 트로닉스, 덴트)의 암호화폐를 탈중앙화 거래소, '이더델타(IDEX)'에 보냄. 이더델타에 보내지 못한 암호화폐 4종(이더리움, 애스톤엑스, 엔퍼, 비투비코인)은 그대로 해커 계정에 남아 있다.
해커가 이더리움 토큰을 먼저 공격한 것 같으며 코인레일이 이상거래를 발견한 후 모든 코인을 콜드월렛으로 옮기면서 이더리움 기반이 아닌 토큰과 코인은 피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코인레일은 유출이 확인된 코인의 3분의 2는 각 코인사 및 관련 거래소와 협의를 통해 동결ㆍ회수에 준하는 조치가 취해졌다며 나머지 3분의 1에 대해서는 수사기관, 관련 거래소, 코인개발사와 함께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주말 사고 접수가 되고 바로 조사에 착수한 상황이며 정확한 조사와 원인 등을 파악하는데 한달 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이 수사에 착수, 10일 코인레일을 방문해 서버 이미징(복제)으로 접속기록 등을 확보해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암호화폐 유출이 실제로 해킹에 따른 것인지, 전산망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 사고인지를 자료 분석을 통해 확인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을지는 현재 불투명한 상태이다.
(👎) 03. 가상화폐 '제도화' 뛰어든 해외, 기준조차 없는 한국 - 한경닷컴 | 김봉구 기자, 김산하 객원기자
<요약> 지난 1년간 정부가 내놓은 암호화폐 시장 정책(국내 ICO 전면 금지, 암호화폐 거래소 폐쇄 경고, 투자용 은행계좌 개설 정지 등)은 규제 일변도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분리'를 표방한 정부의 기본 방향을 되짚어봐야 한다.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 등 전문가들은 정부 방침이 잘못 됐다고 입을 모았다.
반면 해외에서는 최근 암호화폐의 제도화 움직임이 눈에 띈다.
(⚠) 04. 금융당국, 자금세탁방지 규제에 전자금융업·가상통화취급업 등 포함- 뉴시스 | 이현주 기자
<요약> 1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정보분석원(FIU) 김근익 원장은 지난 8일 자금세탁방지 정책자문위원회를 개최, 자금세탁·테러자금조달 방지 분야와 관련한 최근 여건 변화를 공유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논의했다고 한다.
가상통화 취급업소를 자금세탁방지 체계의 직접적 감독대상에 포함하기 위한 입법을 국회와 협의해 추진한다는 것. 현재 관련 내용의 특정금융거래정보법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된 상태다.
(⚠) 05. FIU, 美금융당국 자금세탁 검사 대응 은행권과 TF 구성 - 연합인포맥스 | 정지서 기자
<요약> 금융정보분석원(FIU)은 8일 자금세탁방지 정책자문위원회를 열고 미국 등 해외 금융당국의 자금세탁 방지 검사 강화에 대응하고자 별도의 대책단을 꾸리기로 했다.
우선 FIU는 금융감독원, 은행권과 함께 올해 8월까지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 06. 깜깜이 블록체인 정책에 협·단체만 난립 - 이데일리 | 김현아 기자
<요약> 우리나라에서 블록체인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자는 취지의 협회와 단체들이 넘쳐나고 있다. 정부의 깜깜이 블록체인 정책이 시장의 불신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국회 4차 산업혁명특별위원회까지 나서 투자자보호 대책을 마련한다는 전제하에 정부가 금지한 ICO 허용도 검토하라고 권고했지만 묵묵부답이다. 정책의 불확실성이 크니 각자 알아서 정치권에 줄을 대고 활동한다.
(👎) 07. 블록체인 대학 단 3곳 불과…"면접 100명 봐도 전문가는 없어요" - 아시아경제 | 김철현, 이민우 기자
<요약> 우리나라 블록체인 기술 분야가 인재난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는 다른 4차 산업혁명 분야와 달리 가상통화(암호화폐) 투기 논란 등과 맞물린 블록체인 분야에서의 인재 양성에는 미온적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현재 블록체인 관련 전공을 개설한 대학은 서강대, 동국대, 고려대 등 3곳 뿐이다. 이곳에서 양성된 인력이 실제 산업에 투입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현장에서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의 전공 과정과 별도로 블록체인 기술 인력을 양성할 전문 교육기관이 필요성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 08. "지역 디지털화폐 보급"… 조폐공사, 블록체인 기반 구축 - 국민일보 | 오주환 기자
- <요약> 한국조폐공사에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들어선다. LG CNS가 조폐공사에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을 오는 12월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 조폐공사의 플랫폼을 활용하면 지자체나 학교 등 공공기관이 자체 '○○화폐'를 발행하기 쉬워질 전망이다. 하지만 조폐공사가 지원할 지역화폐가 전국 어디서나 쓸 수 있는 '법정 디지털 통화'로 진화하긴 쉽지 않을 전망이다.
🔊 자세한 내용은 LG CNS 블로그의 해당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5일간 서울에서 팩트블록, 비욘드블록, 해시드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컨퍼런스,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8(KBW 2018)'가 개최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8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해외동향
(👎) 09. 美CFTC, 비트코인 가격조작 여부 조사 착수 - 파이낸셜뉴스 | 장안나 기자
<요약> 미 연방상품선물위원회(CFTC)는 비트코인 거래소, 코인베이스·크라켄·잇비트·비트스탬프에 가격조작 여부를 조사하는데 필요한 거래 정보를 요구했다. 지난해 12월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비트코인 선물을 도입한 이후 처음 실시되는 정식 조사다.
CFTC는 주문을 대규모로 내 가격을 끌어올린 후 바로 취소하는 '스푸핑' 혐의를 집중 조사 중이다.
거래자료 제출을 요구받은 크라켄 측은 CFTC 조치가 암호화폐 현물 거래소들로 하여금 선물지수 작업에 참여하는 비용 및 그 가치에 의문을 품도록 만들었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 10. 일본 기업들, 새 먹거리로 '가상화폐 채굴' 사업 주목 - 한경닷컴 뉴스룸
- <요약> 일본 IT 기업, 'GMO인터넷', 'DMM.com(디지털 미디어 마트)', SBI홀딩스 등이 암호화폐 채굴(마이닝) 사업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 지금까지 어제, 오늘 암호화폐 관련 주요 이슈(10)를 엄선해 살펴보았습니다. 암호화폐 동향 파악에 도움이 되셨는지요? 온통 파란색 투성인 시황만큼이나 아연실색(啞然失色)으로 파랗게 질리지는 않으셨나 조금은 걱정이 됩니다. 암호화폐가 정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행착오(?)가 아닌가 싶습니다. 시행착오라고 하기에는 피해액이 너무 크긴 하네요. ㅜ.ㅜ
아마도 거래소는 보안성 강화된 핫월렛이냐, 사용성이 강구된 콜드월렛이냐로 고민하지 않을까 추정해 봅니다. 이상으로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투자 또는 사용할 수 있는 그 날을 꿈꾸며 6월 11일 월요일의 암호화폐 동향 뉴스 정리를 마치겠습니다. 댓글을 비롯해 보팅과 리스팀, 팔로우 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 남겨주시면 보팅과 답방, 맞팔하도록 하겠습니다! 편안함에 이르기까지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