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스팀잇에서 좋은 글들만 읽다가 처음으로 리스팀한 글이 대한민국 블록체인 생태계 지형도(https://steemit.com/kr/@neoizen/2hs7pw) 인데요. 다른 나라 현황도 궁금하여 구글링을 하다 보니 스위스 블록체인 에코 시스템에 대한 지형도가 있어 여기 공유합니다.
[원문: https://blockchainhub.net]
크게는 아래와 같이 분류되어 있고 한두 기업씩만 추려봤습니다.
- Investment, Asset Management, Payments
a) 투자사: https://blockhaus.io/
b) 자산관리: https://swissborg.com/ko/index.html
c) Wallet: https://xapo.com/ - Platforms, Protocols 이더리움, 카르다노, 테조스, 보스코인, 아이콘, 리스크 (다들 아실거라 링크 생략합니다.)
- Data, Supply Chain, Trade, Energy, ESG
a) 식품, 의료: https://ambrosus.com/
b) IoT, M2M: https://hdac.io/
c) 무역: http://www.gatechain.com/
d) 데이터 무결성: https://modum.io/ - Insurance, Entertainment, Mobility
a) 보험: https://etherisc.com/
b) 방송: https://singulardtv.com/, https://decent.ch/
c) 자율주행: https://dav.network/ - Media, Events https://blockchainsummit.ch/, https://www.crypto-finance-conference.com/en/
- Consulting, Legal, Tax
a) 컨설팅: IBM, https://new.consensys.net/
b) 법률, 세금: https://www.mme.ch/en/compliance/blockchain_dlt_fintech/ - Associations, Communities, Regulators, Institutes
: https://cryptovalley.swiss/, https://www.bitcoinsuisse.ch/
스위스 기업들과 글로벌 기업들이 적당히 균형 있게 분포되어 있는 모습이 부럽기도 하고, 생태계 형성 및 발전을 위한 컨설팅, 법규, 관련 조직, 단체 들이 보조가 잘 이루어져 있는 모습입니다. 우리 기업도 ICO로 하러 많이 가 있네요. ㅠ_ㅜ
대한민국 정부도 큰 그림을 보고 이러한 국제적인 생태계를 잘 구축할 수 있도록 법제를 잘 정비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