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Discover
Waves
Decks
Plus
Login
Signup
44
woojin.joe
Woojin Joe
블록체인 기술에 매료된 개발자입니다.
Available
Used
Resource Credits
134 Followers
108 Following
Korea
http://www.notforme.kr
January 29, 2018
RSS feed
Blog
Blog
Posts
Comments
Communities
Wallet
Follow
eoseoul
kr
Saturday, June 2, 2018 2:45 PM
woojin.joe reblogged
패트로니오스(patroneos) : 동작 분석, 벤치마크, 운영 및 구현 수정 권고 사항
안녕하세요. EOSeoul입니다. 이 글은 1) 패트로니오스의 동작 방식, 2) 벤치마크 결과, 3) 운영 및 구현에 관한 권장 사항을 공유합니다. 편의상 경어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패트로니오스의 simple/advanced 설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독자를 가정합니다. 모든 설명은 아래의 커밋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Update 한국표준시 2018.06.06
$ 3.516
14
3
woojin.joe
kr
Thursday, May 24, 2018 2:08 PM
블록체인을 지탱하는 기술: 합의 알고리즘
사토시 나카모토가 창안한 비트코인에서 시작된 블록체인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 여러 기술들의 조화로 탄생한 기술입니다. 오늘은 블록체인을 지탱하는 기술 가운데 하나인 합의알고리즘(일치된 의견을 도출하는 과정)를 간단히 다뤄보고자 합니다. 합의과정이 필요한 이유 먼저 블록체인 기술에 합의과정은 왜 필요할까요? 블록체인은 소위 우리가 장부(Ledger)라고 하는 일련의
$ 3.007
7
9
kblock
kr
Thursday, May 24, 2018 3:40 AM
woojin.joe reblogged
[케블리] #43. 탈 중앙화 부동산 서비스 "탈방" 을 만든다면?? (Feat, TCR model)
탈 중앙화 부동산 서비스 탈방을 만든다면?? (Feat, TCR model) 최근 Utility Token 모델에 대한 정말 다양한 논의들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교환의 수단으로 토큰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라클를 위해서, 거버넌스를 위한 토큰 등 정말 다양한 기능을 갖는 토큰들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토큰 모델은 Token-Curated
$ 24.037
48
9
7
donekim
coinkorea
Wednesday, May 23, 2018 5:14 AM
woojin.joe reblogged
[거래소에 있는 EOS등록하기] - ④ 내 EOS가 잘 등록되었는지 확인해보자!
안녕하세요 디오네, 디온, 디원, 도네 등 다양한 닉네임을 소유하고 있는 닉네임 부자 닉부 @donekim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EOS를 안전하게 내 지갑으로 옮기고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이제 나의 EOS가 정말 잘 등록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이더월렛이나 메타마스크와 같은 지갑을 많이
$ 2.508
20
13
5
ingee
kr
Wednesday, May 23, 2018 5:04 AM
woojin.joe reblogged
이더리움 계정, address/private-key/public-key의 관계
이더리움 계정과 익명성 보장 이더리움 계정은 한번 쓰고 버리는 것 트랜잭션마다 새로운 계정을 생성/사용하는 것이 권장사항 (이더리움 계정은 이메일 계정처럼 오래 유지하는 것이 아님) 트랜잭션마다 새로운 계정을 사용함으로써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음 이더리움 계정 생성 방법 (account address/private-key/public-key의 관계) 계정주소
$ 0.151
2
2
1
joeuhw
kr
Wednesday, May 23, 2018 6:20 AM
woojin.joe reblogged
여러분 스티밋의 저자 수익은 아래 공식과 같습니다.
제발 헷갈리지 마세요. 저자 수익에 대한 공식이 틀리게 되면 다양한 오해가 생기니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저자 수익은 = 업보팅 금액(표시되는 금액) * 0.375 *( 1/base * 스팀파워 가격 + 스팀달러 가격) 입니다. base 값은 에서 확인( Base값은 증인들이 블록체인 내에서 스팀 달러를 1$로 페깅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거래되는 STEEM/SBD
$ 37.562
71
25
29
woojin.joe
kr
Wednesday, May 23, 2018 10:40 AM
geth 소스 읽기 Part2 Day02
이 글은 자바 개발자의 go-ethereum(geth 클라이언트) 소스 읽기 시리즈 Part2 연재 중 두 번째 글입니다. Day 01: 마이닝 과정 실습 (본 글) Day 02: 마이닝 시작 과정 코드 읽기 (1) Day 03: 마이닝 시작 과정 코드 읽기 (2) TBD 전체 연재 목록은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세요. Part2 연재의 대상 독자 및 목표
$ 1.804
6
5
scientificinvest
kr
Tuesday, May 22, 2018 7:30 AM
woojin.joe reblogged
퀀트란 무엇인가?
제 소개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저는 퀀트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퀀트란 무엇인가에 대한 소개글로 본격적인 스팀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퀀트를 소개하기 전에 셀사이드와(sell-side)와 바이사이드(buy-side)가 무엇인지 간략히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셀사이드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그야말로 금융상품이나 서비스를 파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8.501
41
29
10
woojin.joe
kr
Tuesday, May 22, 2018 2:54 PM
geth 소스 읽기 Part2 Day01
이 글은 go-ethereum(geth 클라이언트) 소스 읽기 시리즈 Part2 연재 중 첫 번째 글입니다. 전체 연재 목록은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세요. Part2 연재의 대상 독자 및 목표 이 글은 독자 분들이 적어도 Java와 같은 OOP 계열의 언어로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다는 것을 가정합니다. 또한 계정, 채굴 등 블록체인과 이더리움과 관련된 기초적인
$ 1.975
12
5
teamsteem
dlive
Friday, May 18, 2018 1:33 AM
woojin.joe reblogged
Meeting Kent Founder Of DLive!
While in California, @karensuestudios, @acromott and I had the honor of meeting Kent aka @wa7, the founder of DLive.io The whole experience turned out to be really awesome for all of us. Kent fun personality
$ 752.164
1036
156
98
eoseoul
kr
Thursday, May 17, 2018 9:25 AM
woojin.joe reblogged
[Worker Proposal] WARP Network을 제안합니다 - Part 1
안녕하세요. 우리는 EOSeoul입니다. 우리는 이 글을 통해 WARP network을 제안하고 1차 실험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네 줄 요약 (TL;DR) WARP 네트워크는 Latency와 Jitter을 조금이라도 줄여보려는 노력이며, 인터넷보다 조금 더 빠릅니다. 튜토리얼은 Failover 기능까지 테스트를 마친 후 추후 포스트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 4.962
19
2
3
tavid
kr
Wednesday, May 16, 2018 4:41 AM
woojin.joe reblogged
현재 댄 라리머(Dan Larimer)와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다시 한번 붙었습니다!
안녕하세요. Blockchain believer 테빗입니다. 이전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설전을 벌였던 적이 있던 EOS의 댄 라리머(Dan Larimer)와 이더리움의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의 일화는 유명하죠. 그리고 지금 다시 한번 그들이 Github에서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습니다. 댄 라리머(Dan Lalimer)와 비탈릭
$ 21.452
84
23
15
chipochipo
kr
Tuesday, May 15, 2018 2:40 PM
woojin.joe reblogged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돈의 진짜 의미는 ?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좋은이웃 @chipochipo 입니다. 우리가 매일 주고받으면서 살아가는 지폐를 가리키는 돈... 막상 경제관련 기사를 보면 통화량 이란 말이 수시로 등장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말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해집니다. 향후 경기예측이나 돈의 흐름을 알기위해서는 통화량의 개념이나 돈이 무엇인지부터 이해해야 합니다. 근데 여기서 잠깐......
$ 52.652
40
14
6
garden.park
kr
Thursday, May 10, 2018 2:30 AM
woojin.joe reblogged
기호화의 기술이 욕망의 정도를 조절한다
서구 경제학은 우울함으로 출발하였다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지만 욕망의 대상이 되는 재화는 유한하기 때문이다. 경제학의 목표는 한정된 자원으로 가급적 많은 사람의 욕망을 충족시킬만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 이었다. 인간의 욕망이 자원의 총량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경제학은 애초에 생기지 않았을 학문인지도 모른다. 초기의 경제학은 공급의 양을 한정하고 최대 다수의 욕망을
$ 19.088
38
22
9
ringmedia
kr
Monday, May 14, 2018 1:16 AM
woojin.joe reblogged
20180514 링미디어 회원 목록
현재 링미디어 회원으로 가입 요청을 하여 상호 평가에 의해 가입된 분들의 명단입니다. 일부는 아직 스팀잇에 본격적인 포스팅을 하진 않으셨지만 조만간 멋진 콘텐츠를 올려주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 팔로우해주세요. 링미디어 본진 (링미디어 소개 및 큐레이션) 벤처스퀘어 (스타트업 미디어) 바벨탑 (통번역 네트워크) 백미러님 (자동차 전문) 기신작가님 (저작권
$ 8.259
12
6
1
armdown
kr
Monday, May 14, 2018 1:18 AM
woojin.joe reblogged
[잘 모르는 상식] 예술의 탄생과 죽음(birth and death of fine-arts)
"예술"이 하나의 개념으로 정립된 건 18세기 초중반, 이에 상응해 "미학"이라는 이름과 분과가 만들어진 것이 1735~1750년, '다다' 또는 '다다이즘'이 예술을 부정한 게 1915년 경. 예술은 겨우 200년도 못 되는 시간 동안 만들어졌다 죽었구나. '다다'는 근대인의 발명이자 근대의 성취 중 하나인 '예술'이 얼마나
$ 10.293
17
4
1
dongkun
kr
Thursday, May 10, 2018 6:22 AM
woojin.joe reblogged
[번역] 마누엘 카스텔과의 대담 02 - 스페인에서 『도시 문제』까지 / 투쟁하는 젊은 사회학자 (1957-1972)
/*-- Géraldine Pfliger와 Manuel Castells의 대담(2006 출간)을 번역해서 연재합니다. 2010년 경 한국어로 번역 출간 예정이었지만 현재 잠정 중단된 상태입니다. 강의 및 세미나에서 이 책을 같이 봐야 할 상황이 많아서 번역된 부분 중 일부를 연재합니다. --*/ /* -- 이번 부분은 제1장
$ 3.060
9
4
3
lostmine27
kr
Sunday, May 13, 2018 9:12 AM
woojin.joe reblogged
누가 스팀잇의 미래를 묻거든. (Feat. 오컴의 면도날)
재미로 보는 추측글일 뿐임을 먼저 밝힙니다. 오컴의 면도날(Ockham's Razor) 경제성의 원리(Principle of economy), 또는 단순성의 원리 ① 많은 것들을 필요없이 가정해서는 안된다. ② 보다 적은 수의 논리로 설명이 가능한 경우, 많은 수의 논리를 세우지 말라. ★ 단순화 『신이 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 싶다면, 그가 돈을
$ 77.473
163
98
37
joeypark
kr
Sunday, May 13, 2018 4:51 AM
woojin.joe reblogged
[kr-event] Steemit X Gopax Meetup 조재우 증인님(@clayop) 인터뷰 영상입니다 / 0.25$ 고정 보팅
우선 바쁘신데도 이렇게 인터뷰에 응해주신 조재우 증인님(@clayop) 감사드립니다 :) 꾸벅 아직 업계에서 일한지 2달 밖에 안 되어서 진행이 미숙했지만 배려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영상 내용 요약(Summary) Q1 : 스팀잇에 언제부터 어떻게 관심을 갖게 되셨나요? A : 2016년 4월 이전에 비트쉐어 커뮤니티를 활동을 하다가 스팀잇을 우연히
$ 103.841
171
194
69
armdown
kr
Sunday, May 13, 2018 8:45 AM
woojin.joe reblogged
외워두자 : 기자들도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맞춤법, 어법
낮에 올린 시험 답안 작성 요령 포스팅(학생들의 답안을 채점하면서, 몇 마디 조언을 )에 호응이 좋아서, 글쓰기 팁을 하나 더 제공합니다. 아래는 글을 쓸 때 자주 등장하면서도 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맞춤법, 어법을 요점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제가 예전에 아주 잘나가는 논술 선생일 때 학생들에게 강조했던 내용을 자료로 정리했던 건데, 실제로 기자들도 많이
$ 56.136
132
114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