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0 년대 후반
독일의 수학자 요한 비드만이 +, - 의 기호 사용 [ +의 경우 이전 이탈리아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사노가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피사노는 대략 150개의 기호를 만들었는데 그 중 몇개가 살아남았을려나 ]
1525년 독일의 수학자 크리스토프 루돌프가 제곱근 기호 (root, ) 를 사용 [당시 이 root 는 짧은 루트로 우리가 쓰는 긴 루트는 1637년 데카르트에 의해 사용됨 -근호]
1557년 영국(웨일스)의 수학자 로버트 레코드가 , 등호 (=) 기호를 사용
1608년 네덜란드의 루돌프 스넬리우스가 소수점 자리를 구분하기 위해 쉼표를 사용
1614년 존 네이피어 로그 사용
1631 영국의 토머스 해리엇이 두 수의 비교를 위한, 부등호 >, < 를 사용 [해리엇은 1621년 사망했고 10년 뒤 1631년에 그의 저작이 발표됨, 참고로 부등호(≦, ≧)는 대략 100년 뒤 바우어에 의해 사용됨 ]
1631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오트레드 가 곱하기 기호(x) 를 사용
[ 곱하기의 의미로 점을 사용한 것은 헤리엇이 사용, 1631]
1630년대 프랑스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가 후반 문자 x,y,z 를 미지수로 사용 [사실 이전에 1580년대 후반 프랑스의 수학자 프랑수아 베이트가 알파벳 모음을 미지수로 처음 사용하였다.]
1659년 스위스의 수학자 요한 란이 나눗셈 기호 ÷ 를 사용
1706년 영국[웨일스]의 수학자 윌리엄 존스가 원주율을 나타내는 기호 pi, π 를 사용 [둘레를 뜻하는 περιφηρής 의 앞글자를 따옴]
1730년대 레온하르트 오일러, e 를 사용
읽을 거리
미카엘 로네의 수학에 관한 어마어마한 이야기
샤르탄 포스키트의 수학선생님도 몰래 보는 수학책
마리안 프라이베르거, 레이철 토머스 의숫자의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