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32. 낮은 목소리 3부작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29056
영화기획기사

"‘할머니들’의 목소리, 침묵해선 안 되는 역사의 숨결
...
"변영주 감독의 1995년 작품 <낮은 목소리 1>에서 인권운동가 김학순은 이렇게 말한다.
영화가 나오기 4년 전인 1991년 김학순의 증언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가 국제사회에 알려졌다.
역사적 비주체로 간주되었던 ‘할머니들’의 기억과 증언을 기록한 변영주 감독의 <낮은 목소리> 3부작은 그간 국가가 지워온 역사의 한 장을 공론화하며 스스로 쓰는 여성사를 만들어낸 놀라운 작업이었다. 이 영화는 여성 영화인들의 다큐멘터리 집단에서 만들어낸 여성주의 영화였으며, 독립다큐멘터리 최초로 극장 개봉을 이뤄냈다.
‘100피트 회원모집’을 내걸고, 독립영화의 제작 단계부터 관객 참여를 독려해 배급까지 이어지는 마케팅을 시도한 모범 사례라는 성과도 냈다.
...
심혜경/영화연구자·중앙대 전임연구원
기사출처 및 원문전체보기 : http://www.hani.co.kr/arti/culture/movie/912676.html
영화소개(줄거리)

개봉:2000 .03.18
장르:다큐멘터리
감독:감독변영주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세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 3_숨결>은 지난 7년간의 작업을 완결 짓는 의미로 제작되었다.
1, 2편이 모두 나눔의 집이라는 공동체 공간을 무대로 피해자 할머니들의 일상을 쫓아가며 상처와 치유에 관한 목소리를 끌어낸 것이라면, 3편인 <낮은 목소리 3_숨결>은 거꾸로 그들의 증언으로부터 시작한다. 성묘를 간 변영주 감독과 제작진은 강덕경 할머니가 좋아했던 담배를 올려 놓아드렸다. 최근 대구에서는 시민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정신대 할머니들을 돕는 시민모임'이라는 시민단체가 발족해 정기모임과 후원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줄거리출처 : https://movie.naver.com/
영화 관련 영상 보기
영화 관련 영상 보기
안녕하세요. @hodolbak-aaa (호돌박) 입니다.
2019년 한국영화 100주년을 기념하여 '한겨레' 와 '씨제이(CJ)문화재단' 은 [한국영화 100년, 한국영화 100선] 이란 기획을 통해 한국영화 100편을 선정했습니다.
당시 매체를 통해 기사를 통해 한편씩 영화를 소개했는데요.
해당 영화의 간략소개와 기사를 발췌해서 주사위 이벤트와 함께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주사위 참여방법
- 영화에 대한 한줄 댓글과 함께 주사위(#wdice)를 돌려주세요.2. 보상
- 주사위와 영화순서의 십단위와 일단위 수를 비교 보팅 (50%)
- 예시 : #061 인 경우 주사위가 6x, x1 인 경우 보팅
- 동일 : 100% 보팅 + 500 AAA(미당첨시 이월)3. 누적당첨금
- 5,000 AAA
영화리뷰 전문 트리플A
한국의 로튼토마토를 추구하는 리뷰사이트인 트리플A가 서비스중입니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리뷰는 트리플A 에서
https://www.triplea.reviews
https://www.triplea.reviews/@hodolbak-aaa
